커버드콜 전략은 주식 투자와 옵션 거래를 결합한 투자 방식으로, 안정적인 수익과 리스크 관리의 조화를 목표로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커버드콜의 정의와 미국 주식에서의 커버드콜 전략 활용 방법, 그리고 대표적인 ETF인 DIVO, JEPI, TLTP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이란?
커버드콜은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해당 주식의 콜 옵션(Call Option)을 매도(Write)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주가 상승분을 일부 포기하는 대신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얻습니다.
커버드콜이란?
- 투자자는 주식을 보유합니다.
- 보유 주식에 대해 콜 옵션을 매도합니다.
- 옵션 매도로 얻은 프리미엄은 투자자의 추가 수익원이 됩니다.
커버드콜 전략의 장단점
- 장점: 안정적인 수익 창출, 변동성 감소, 리스크 완화.
- 단점: 주가가 크게 상승할 경우 잠재적 이익 제한.
미국 주식과 커버드콜 전략
커버드콜 전략은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거나,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적합한 투자 환경 | 시장이 횡보하거나 약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 유리 변동성이 낮은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옵션 프리미엄을 제공할 수 있음 |
활용 예시 | 보유 주식: 투자자가 애플(Apple) 주식을 보유. 콜 옵션 매도: 3개월 후 행사가격 $180인 옵션을 매도. 결과: 주가가 $180 이하라면 옵션은 행사되지 않고 프리미엄이 수익으로 남습니다. |
커버드콜 전략 관련 ETF-DIVO, JEPI, TLTP
1) DIVO(대형 고배당)
DIVO는 배당주와 커버드콜 전략을 결합한 ETF로, 안정적인 배당 수익과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높은 총수익을 추구합니다.
특징 | 배당 성향이 높은 블루칩 주식에 투자. 선택적으로 커버드콜 전략을 실행하여 추가 수익 창출. |
주요 보유 종목 | 마이크로소프트, 존슨앤드존슨, 유나이티드헬스 등. |
장점 | 배당 수익과 옵션 프리미엄의 조화. 낮은 변동성으로 안정적인 수익 추구. |
2)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JEPI는 미국 대형 주식에 투자하면서 ELN(Equity-Linked Notes)을 활용해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화하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특징 | 대형 우량주 포트폴리오. ELN을 활용한 옵션 프리미엄 수익. |
장점 | 높은 배당과 월별 배당 지급. 시장 변동성에 따른 안정적인 현금 흐름. |
3) TLTP (Teucrium Agriculture Strategy No K-1 ETF)
TLTP는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농업 및 원자재 주식에 투자하면서 옵션 수익을 추구합니다.
특징 | 농업 관련 기업 및 원자재에 초점. 커버드콜을 통해 추가 수익 창출. |
장점 | 원자재 및 농업 섹터에 대한 노출. 커버드콜로 인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 확보. |
커버드콜 전략은 주식 보유와 옵션 매도를 결합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효과적인 투자 방법입니다. DIVO, JEPI, TLTP와 같은 ETF는 개별 주식과 옵션을 직접 거래하지 않고도 이러한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목표와 리스크 감내 수준에 맞춰 적합한 ETF를 선택하고, 시장 동향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